자녀가 교육적 목적의 투자대상으로 변하고 있다는 분석

 
 

자녀를 가문을 잇고 노후를 기대는 존재로 여기던 전통적 가치관이 정서적 만족을 주는 대상을 거쳐 교육적 목적의 투자대상으로 변하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29일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박종서 부연구위원 등은 '출산 및 양육의 사회·문화적 환경 분석'이란 연구보고서에서 이같은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다양한 출산장려정책에도 출산율이 반등하지 않고 저출산 현상이 지속하는 이유를 가치 등 문화적 차원에서 접근했다. 이를 위해 담론분석 방법을 활용해 각종 언론보도와 정부가 1968년 가족계획협회를 세우면서 기관지로 발행한 잡지 '가정의 벗'을 1973년부터 1994년까지 훑어보며 내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녀를 가문을 잇고 노후를 기대는 존재로 여기던 전통적 가치관이 정서적 만족을 주는 대상을 거쳐 교육적 목적의 투자대상으로 변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전통적 자녀 가치는 약화하고, 1990년대 들어 자녀를 교육투자 대상으로 삼는 인식이 뿌리를 내리고 있다.

자녀의 전통적 의미로서 '노후의 의탁'은 1980년대를 거치면서 거의 영향력을 잃었다. '세대의 계승'을 통한 가문유지란 전통적 가치도 1990년대를 지나면서 점차 색이 바랬다. 이를테면 아들이 필요한 이유에서 정서적 만족은 증가하지만, 가문유지는 감소하는 추세다.

산업화가 본격 시작되면서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둘만 낳아 잘 기르자'로 대표되는 가족계획사업의 하나로 자녀는 수와 상관없이 정서적 만족을 주는 사랑의 대상이자 가정의 행복을 매개하는 상징적 존재라는 근대적 가치가 등장했다. 자녀가 단지 가계를 계승하는 도구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그 자체로서 즐거움을 주는 존재로 인식됐다.

이런 자녀에 대한 근대적 가치로서 정서적 만족감은 1990년대로 넘어오면서 아낌없는 양육비용과 양육고통을 안기는 존재, 교육투자 대상 등 다른 가치들에 짓눌려 위축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자녀는 교육투자 대상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 부모들은 경제적으로 가능한 한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그렇지 못하면 부모로서 심한 죄책감을 느끼고 있다.

자녀가 가문을 잇고 노후를 기대는 존재였던 전통적 가치관이 정서적 만족을 주는 대상을 거쳐 교육적 목적의 투자대상으로 바라보는 쪽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자녀교육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고 점차 전문화되고 있다. 자녀를 교육투자 대상으로 삼는 이런 의식은 현재의 가구 경제, 나아가 국가 경제에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저작권자 © 코리아프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