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의 동아시아 평화 훼손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코리아프레스 = 박귀성 기자]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으로 한-일 협력의 역사 있어...
‘2015 동아시아 평화 국제회의’ 국회에서 열려
아베 총리의 동아시아 평화 훼손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

광복 70주년 기념 ‘2015 동아시아 평화 국제회의’ 환영사에서 -

‘2015 동아시아 평화 국제회의’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
‘2015 동아시아 평화 국제회의’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

‘2015 동아시아 평화 국제회의’가 14일 오전 10시 국회 사랑재에서 열렸다. 광복 70주년을 맞아 ‘No Wars, No Nukes(전쟁 반대, 핵 반대)’를 주제로 정한 동아시아국제평화회의는 동아시아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목적으로 동아시아평화조직위원회에서 주최했으며 한반도에서의 전쟁종식과 동아시아에서의 핵 안전, 일본의 평화헌법 수호를 위한 각국의 역량을 모으기 위해 개최됐다.

정의화 국회의장은 이날 회의에 참석해서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이후 지난 70년 동안 동아시아는 평화와 안정 속에 큰 번영을 이루었다”며 “경제교류가 활성화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GDP는 전 세계 GDP의 약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점차 강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의화 의장은 특히 일본 정부가 보이고 있는 과거사 왜곡과 억지 군사외교의 행보에 대해 “최근 동아시아에서 특별히 우려스러운 것은 일본의 퇴행적 역사인식과 군사대국의 행보”라며 “과거의 침략행위와 그에 따른 여러 잘못들을 부인하는 일본의 태도로 인해 동아시아 국가들 간 갈등이 깊어져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의당의 정진후 원내대표는 “일본은 끊임없는 반성 사죄로 신뢰와 용서 얻어간 독일의 경험 배워야 한다”며 “우리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으로 협력의 길 갔던 역사 있었다”고 역설했다.

정진후 원내대표는 “올해 8.15는 우리가 일본 군국주의가 일으킨 침략전쟁의 공포와 식민통치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된 지 70주년이 되는 날”이라며 “그러나 현재 동아시아의 현실을 보면 70년 전의 종전이 평화가 아니라 냉전과 열전으로 이어졌던 불행이 되풀이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우려를 갖게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정진후 의원은 이어 “아베 정부는 평화헌법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집단적자위권 행사를 위한 안보법제를 추진하고 있고, 일본과 주변국 간에 해양영토를 둘러싼 갈등이 지속되고 있다”며 “6자회담은 재개조차 되지 않고 있으며 ‘북한위협’을 이유로 한 한미일 3각 안보협력의 강화는 중국과 러시아 간의 전략적 협력을 강화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친후 의원은 나아가 “유럽의 평화구축 사례를 뒤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1970년대 초기 아직 냉전이 엄존할 때 유럽은 ‘헬싱키 프로세스’를 통해 진영을 뛰어넘은 평화협력의 기틀을 닦았고, 1980년대 초강대국 간 대결이 다시 심화될 때도 일관되게 협력을 지속했다”고 예를 들었다.

정진후 의원은 덧붙여 “한국과 일본 사이에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에 의한 협력의 길을 갔던 역사가 있었음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다”며 “첫째, 일본 평화헌법을 무력화시키는 현재의 안보법제 추진을 철회해야 하고, 둘째, 한국전쟁의 완전한 종식과 한반도 비핵화를 위해 평화협정 체결 협상을 즉각 개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의화 국회의장을 비롯, 김원기, 임채정, 김형오 전 국회의장과 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원혜영, 강창일, 심윤조, 정진후, 이미경, 진선미 의원, 이부영 동아시아 평화위원회 조직위원장, 곤도 쇼이치 일본 민주당 중의원, 데루야 간토쿠 일본 사민당 중의원, 너지 데바 유럽의회 한반도 관계대표단 회장, 요하네스 플루크 전 독일연방의회의원, 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협회 선임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 코리아프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