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태실 문화재 중 첫 지정

충남 서산 ‘명종대왕 태실(胎室) 및 비’가 국내 태실 문화재 중 처음으로 보물 반열에 올랐다.

도와 서산시가 지난 2016년 12월 문화재청에 승격을 신청한 뒤 15개월 만에 거둔 결실이다.

도와 서산시는 명종대왕 태실이 최근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통과, 26일자로 ‘보물 제1976호’로 지정·고시됐다고 밝혔다.

태실은 왕실에서 자손을 출산하면 그 태를 봉안하는 곳으로, 명종대왕 태실은 조선 13대 왕 명종이 태어난 1538년(중종 33년) 왕실의 의례에 따라 서산시 운산면에 건립됐다.

[명종대왕 태실 및 비]화보-명종대왕 태실 및 비 전경(서쪽상공에서 본 전경, 2008년 촬영)
[명종대왕 태실 및 비]화보-명종대왕 태실 및 비 전경(서쪽상공에서 본 전경, 2008년 촬영)

명종대왕 태실은 받침돌 위에 태를 넣은 둥근 몸돌을 올리고 지붕돌을 얹은 모습으로, 바깥에는 팔각형 난간석이 둘러져 있다.

비는 태실과 함께 세운 ‘대군춘령아기씨태실비’, 명종 즉위 이듬해인 1546년 세운 ‘주상전하태실비’, 1711년 추가로 세운 ‘주상전하태실비’ 등 모두 3기다.

태실에 봉안됐던 태항아리와 지석은 1928년경 일제에 의해 경기도 고양시 서삼릉으로 옮겨졌으며, 1996년 국립문화재연구소가 발굴·수습해 국립고궁박물관에 이전·보관 중이다.

명종대왕 태실의 보물 승격은 태실과 가봉(加封)태실 변천 과정을 한눈에 살필 수 있어 조선 왕실의 안태(安胎)의례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점 등이 작용했다.

조선 왕실 태실은 본래 자리에서 옮겨졌거나, 변형된 경우가 많다.

그러나 명종대왕 태실은 조선왕조실록 등에 관련 기록이 상세히 전해지고 있고, 원래의 자리에 온전하게 남아 있으면서 주변 지형 등 환경까지도 비교적 잘 보존돼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크다는 평가다.

명종대왕 태실에 대한 정밀 실측과 심화연구를 진행한 충남역사문화연구원 김회정 박사는 “선조들은 태아의 생명력이 ‘태’에서 나왔다고 보고, 출산 뒤에도 태를 소중히 보관했으며, 조선 왕실에서는 태를 봉안하는 절차와 의식을 규례화 해 세계적으로 유례 없는 태실문화로 발전시켰다”라며 “특히 명종대왕 태실은 국왕 태실 중 본래 위치에 온전한 모습으로 남아 있어 역사·문화재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도 관계자는 “도는 명종대왕 태실 보물 승격을 계기로 도내 조선 왕실 태실의 가치를 재조명 하고, 비지정문화재인 예산 헌종태실 등을 문화재로 지정해 관리하는 한편, 세계문화유산 등재 가능성에 대해서도 모색해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내 태실 문화재는 총 16기이며, 이 중 국왕의 태를 봉안한 가봉태실은 이번 명종대왕 태실과 금산 태조대왕(이성계) 태실, 부여 선조대왕 태실, 공주 숙종대왕 태실, 예산 헌종 태실·현종 태실, 홍성 순종태실 등 7기로 경북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다.

[코리아프레스 = 김효빈 기자]

저작권자 © 코리아프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