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와 가뭄 빈번해지고 봄철, 겨울철 가뭄 심화될 듯

[코리아프레스 = 김유진 기자]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서울 도심의 폭염 사망자가 20년 후에는 현재보다 2배 이상 증가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환경부와 기상청은 우리나라에 대한 기후변화의 과학적 근거, 영향, 적응 등과 관련한 연구결과를 정리한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를 발간한다고 24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980년대 이후로 뚜렷하게 상승하고 있다.
 
1954년부터 1999년까지 중장기 분석에서는 10년간 연평균 0.23도 증가했지만 1981년부터 2010년에는 0.41도/10년, 2001년부터 2010년에는 0.5도/10년으로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다.
 
이와 관련 폭염에 의한 서울 지역의 사망자도 현재대비(2001∼2010) 미래(2036∼2040)에 인구 10만 명당 0.7명에서 1.5명으로 약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진은 지난해 발표된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5차 보고서 전망결과를 활용해 추정했다.
 
기온 상승과 더불어 해수면의 상승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주변 해양에서의 수온과 해수면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전지구 평균인 0.85도, 1.4㎜/년보다 약 2∼3배 높은 것으로 관측됐다.
 
부산(해운대구)지역의 경우 해수면이 1m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액은 3963억원으로 추정됐다.
 
아울러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와 가뭄이 빈번해지고 특히 가뭄은 봄철과 겨울철에 심화될 전망이다.
 
지역별로 보면 이러한 영향은 도시지역이 비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취약했으며, 저소득계층이 밀집한 지역에서 그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역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정책과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각 분야별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정은해 환경부 기후변화협력과 과장은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더라도 누적된 온실가스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은 지속될 전망"이라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이행가능 한 적응 실천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코리아프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